독일 민족주의자이자 시인인 에른스트 모리츠 아른트가 스웨덴으로 망명하다가 1809년에 만든 독일 노래입니다. 독일은 통일이 늦은 나라인데 신성로마제국, 독일 제국, 제3제국(나치), 제4제국(독일 연방공화국) 순서입니다. 노래 가사에서 독일어를 사용하는 게르만족이 사는 중부 유럽 영토는 모두 독일로 통합되어야한다고 하니까 과거 프로이센의 영토를 되찾자 이런 내용으로 독일의 민족주의를 자극할 수 있다고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습니다. 저는 고등학교 다닐때 제2외국어가 독일어였고 법학 전공하면서 독일어 법전 책을 봐서 그런지 노래도 크게 어렵지 않은것 같고 가사 내용은 제외해도 음악 자체가 워낙 좋아서 가끔 듣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hvFAv1B0qc&list=RDC..
원피스 필름 레드는 2022년 8월달에 개봉했었는데 아직 한국에서 개봉은 안했습니다 2022년 11월 30일날 개봉한다는데 극장판은 2주 정도 영화관에서 볼 수 있겠습니다 원피스 만화 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샹크스가 루피 구할려고 해왕류에게 왼팔을 희생했고 흰수염이랑 만나서 왼팔은 누구에게 주고왔냐고 하니까 "새로운 시대에 걸고왔다" 말하였고 정상결전에서 루피가 해군대장한테 죽을뻔한 위기도 샹크스가 구해주러 오고 최악의 세대라고 불리는 해적의 신시대를 이끄는 역할로 많이 나오네요 원피스 필름 레드에서 붉은머리의 샹크스(아카가미노 샹크스)전투하는 장면도 나와서 샹크스 팬들은 이달 말에 꼭 보러 간다고 하네요 원피스 필름 레드의 주인공은 샹크스의 양딸로 나오는 우타인데 노래를 부르는 가수의 역할이라 그런지 노..
소오강호는 홍콩 출신의 20세기 무협소설 1인자 김용(진융) 선생의 장편 소설입니다 1967년에 연재를 시작해서 1969년에 끝났구요 소설 소오강호는 김용 선생 스스로가 "후기로 갈수록 명작이다" 라고 높게 평가했었습니다 1990년작 영화 소오강호에서 최초로 이 노래가 등장하고 무협영화판에서 상징적인 노래가 되었으며 소오강호 후속작인 1992년 영화 동방불패에서 또 나와서 명곡 반열에 오르게 됩니다 동방불패에서 임청하(린칭샤) 배우가 대박 터져서 1990년대에 이름 날렸죠 지금은 소오강호보다 동방불패를 더 많이 기억하는 사람이 많을겁니다 북경어 버전은 여자가 부르는 노래로 창하이 솅 샤오로 시작하고 광동어 버전은 남자가 부르는 총호이 얏싱 씨우로 시작하는데 발음은 크게 차이가 안 납니다 https://w..
남자라면 축구. 축구 싫어하는 남자는 거의 없을겁니다 일제강점기 시절에도 조선 사람들은 야구보다 축구를 좋아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니까요 저도 축구로 유명한 동북고등학교 출신인데 고등학교 이전까지 축구는 그냥 남이 하는 운동으로 생각했었는데 동북고등학교는 축구가 일상이라서 축구 잘하면 대접받고 축구 못하면 약간 고난이 있었습니다 동북고 선배님들이 축구로 이름 날리는 분이 꽤나 많은데 이회택, 홍명보, 김은중, 손흥민(중퇴) 국가대표 출신도 많이 배출하고 2008~2012년에는 FC서울 유소년팀이 된 적도 있으니까 무시 못하거든요 유럽축구를 알게 된건 박지성 선수가 2005년 7월 14일 영국 프리미어리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입단하고 TV로 볼 수 있게 됐습니다 그 전까지는 해외축구 하면 9시 스포츠 타임..
유튜브에서 러시아 관련 짤 나오면 필수로 등장하는 노래입니다 러시아 틱톡에서 매우 많이 등장을 하는데 듣다보니까 괜찮더라구요 아마 이것도 수능금지곡에 들어갈 중독성을 자랑하는데 독일어라 그런지 처음엔 약간 따라 부르기가 어렵지만 듣다보면 익숙해집니다 불곰국의 기상, 러시아의 일상에서 가끔 기상천외한 장면 나올때 이 노래가 브금으로 나와주면 신나고 러시아가 재밌는 나라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노래 부르는 가수는 독일인인데 몽골인 분장을 하고 밴드 이름은 몽골의 영웅 징기스칸이고 노래의 내용은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를 찬양하는 내용이니 뭐 이런 끔찍한 혼종이 있나 싶었습니다 1979년에 만든 노래인데 소련에서 대중적으로 인기가 많았고 2013년에 러시아 붉은군대 합창단을 초청해서 1절은 독일어 2절은 러시아어 ..
유튜브 보다가 어렸을때 좋아했던 중국배우 이연걸이 주연인 태극권 영화가 보이더라구요 내용은 다 알지만 알면서 봐도 역시 참 괜찮은 영화입니다 1993년 홍콩에서 태극장삼봉으로 첫 개봉했고 한국에는 1994년에 이연걸의 태극권으로 번역이 되서 들어온 영화입니다 예전에 OCN 같은데서 틀어줬었죠 태극권은 실전 무술로서는 의미가 없다고 보지만 기 체조 형태로는 괜찮다고 보는데요 동작이 느리고 심신의 안정에도 도움됩니다 중국 도시광장이나 공원에 가면 노인분들 여럿이서 모여서 태극권을 춤인듯 춤 아닌 느릿느릿 움직이는거 보셨을텐데 바로 그겁니다 오랜만에 태극권 ost 수련을 듣다보니 괜찮아서 가사까지 첨부해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TxPFEKiQFI&t=16s 중국 만다린..
황비홍 ost 다들 잘 아실겁니다 대륙 관련 브금으로 엄청 많이 등장하고 제목만 보여주면 모르지만 노래 들려주면 아 이거~ 하면서 다 아실겁니다 황비홍(1847~1924)은 중국 청나라의 실존 인물로 무술가이자 의사였습니다 무술가로는 별로 유명하지 않은데 1991년 홍콩 영화로 만들어지고 이후부터 엄청난 유명세를 얻게 됩니다 이게 중국 표준어(만다린) 버전이 따로 있고 광동어 버전이 따로 있죠 한자, 독음, 한국어 발음(파란색), 해석(빨간색), 중국 성조 발음 순서 중국 표준어 만다린 버전 https://www.youtube.com/watch?v=XFma0j6CZb0 傲氣面對萬重浪 오기면대만중랑 아오 치 멘 두이완 총 랑 패기로 만 겹의 파도에 맞서고 Ào qì miàn duì wàn chóng làn..
다메다메 노래로 유명한 용과같이 게임에서 나오는 노래입니다 아무래도 남자다움, 사내다움을 강조하는 노래들이 많더군요 용과같이 게임 중에 노래방 가서 노래 박자 맞추는 게임이 나오는데 여기서 나오는 노래들이 좋습니다 "다메다메"로 알려진 바보같이 그 노래도 노래방 박자 맞추기 게임에 나오는 수록곡이었죠 사나이 벚꽃은 용과같이 "유신"과 "극"에서만 나오는 노래인데 유신 버전은 오리지널로 느리게 부르는데 극 버전은 락 스타일입니다 비록 일본게임 노래이긴 하지만 남자의 뜨거운 가슴을 울리는 노래이고 사나이 벚꽃은 결국 수모를 이겨내고 끝내 성공을 이루라는 남자들의 숙명 같은 노래라 가사 작성해봅니다 요즘 2030 남자들 사회에서 무시 당하고 코로나 때문에 백수 생활 길게 하시는 분들 많은데 자존감 회복에 도움..
오늘은 사쿠란보 노래 포스팅입니다 2003년에 일본의 오오츠카 아이가 발매한 앨범 수록곡입니다 2004년쯤 남의 싸이월드 방문할때 이 노래가 많이 나와서 20대 후반은 익숙하죠 사쿠란보 = さくらんぼ = Sakuranbo 사쿠란보 뜻은 버찌를 말합니다 버찌는 벚꽃나무 열매죠 서양의 버찌는 체리를 뜻하는거고 동양의 버찌는 왕벚나무 열매입니다 사쿠란보 가사 뜻도 벚꽃과 관련도 있고 남녀간에 사랑을 노래하는거라 4월달 벚꽃 축제에 사쿠란보 노래에 춤까지 추면 인기 터질듯 합니다 4월달에 벚꽃피면 벚꽃놀이도 가고 그래야되는데 작년이나 올해나 코로나19 때문에 가급적 조심하며 다녀야됩니다 5인이상 집합금지라 참고로 4명까지 마스크 쓰면서 외출은 가능합니다 틱톡에서 사쿠란보 노래 나오면서 여자bj 방송인들이 엄지 ..
오늘은 용과같이 제로 게임에서 등장하는 버블이라는 노래입니다 오프닝으로 시작하고 게임 배경이 1980년대 일본경제 최절정 시절이라 거침없는 시대였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1991년에 일본경제 버블이 터지는 바람에 한순간에 폭망했지만 1980년대의 일본은 젊은이도 돈을 펑펑 써제끼고 자신감이 넘쳐 흘렀죠 실제로 한국인들이 일본 유학을 가면 더러운 조센징이라거나 춍으로 부르고 재일 한국인을 자이니치로 불러가며 깎아내리고 무시하는데 속상할때 가끔 일본 번화가 지나가면서 이 노래 틀고 지나가면 힘도 생기고 겁 안 납니다 일본 게임의 노래이긴 하지만 요즘 코로나 바이러스로 국가 전체적으로 힘도 없고 침체기에 빠져있는데 2030 젊은 청춘들이 기운 좀 냈으면 하는 마음에서 올려봅니다 www.youtube.com/w..
다메다메 노래가 좋아서 듣다가 용과 같이 게임을 알게 되었고 결국 플레이스테이션을 구매해서 주말에 저도 가끔 하고 있습니다 용과 같이 시리즈 중에서도 스토리가 괜찮다는 제로를 하고 있는데 진짜 좋은 노래가 많아요 게임에 수록된 노래가 이 정도일줄은 몰랐고 일본의 가수들보다 게임 성우들이 노래를 훨씬 잘하는 느낌입니다 용과같이 제로 게임에 나오는 시대 상황은 1988년인데 일본의 버블경제 초절정인 시절입니다 1985년 플라자 합의로 일본 엔화가 강세가 되고 일본의 구매력이 미국을 잠깐이나마 뛰어넘는 수준까지 올라있던 시대죠 지금이야 일본이 미국을 뛰어넘었다는 말이 상상도 안 가지만 1988년 도쿄 긴자 땅 1평에 1억엔을 받았으니 도쿄 땅을 다 팔면 미국을 살 수 있다는 농담이 진짜로 가능했었습니다 198..
가나 관짝소년단의 뒤를 이어 유튜브를 휩쓰는 새로운 밈이 나왔는데 이번에 소개하고자 합니다 馬鹿みたい "바카 미타이" ="바보같이" 라는 노래입니다 원래 이 노래는 일본 게임회사 세가 SEGA의 "용과 같이" 게임에 나옵니다 "龍が如く" = "류가 고토쿠" 노래 자체도 좋지만 유튜브에 외국인 다메다메 밈이 퍼지고 짤툰에 나와서 굉장히 유명해졌습니다 야쿠자들을 다룬 게임인데 처음엔 노래가 좋아서 듣다가 저도 결국에 게임기 플레이스테이션을 사서 "용과같이" 게임 하는 중입니다 30살 넘어서 게임 노래가 좋아서 게임을 구매할줄은 몰랐습니다 이 노래 버전이 4개가 있는데 키류 카즈마 버전, 아키야마 슌 버전이 좋다고 평가를 받는데요 키류 버전은 슬픔을 인내하는 노래라면 아키야마 버전은 슬픔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제가 좋아하는 노래 중에 하나구요 1980년 중후반~1990년생들은 노래 들려주면 아 이거? 하면서 알아채십니다 일본 애니메이션 만화 원피스 오프닝입니다 원피스 만화는 일본인 작가 오다 에이치로가 1997년 7월 22일부터 연재가 시작되어서 아직까지 진행되고 2020년 기준 전 세계 발행 부수 4억 7300만부를 돌파한 세계적으로 유명세를 떨치는 만화입니다 당시 잘 나가던 코요태(김종민, 신지)가 불렀구요 김종민씨 인생곡이라 불립니다 앞 부분 파트는 아직까지도 김종민씨보다 잘 부른 가수는 없다고 확신합니다 유치하게 무슨 만화 주제곡을 좋아하냐 하시겠지만 가사 내용 들으면 공감이 되고 지금 힘들게 사는 취준생이나 현실에 지쳐 꿈을 잊고 사는 우리의 삶을 위로하는 노래가 아닌가 싶어요 만화를 보며 해적왕을 ..
미국, 소련 국가에 이어서 제가 좋아하는 국가 3순위 프랑스의 라 마르세예즈입니다 프랑스 혁명 중 지어진 군가이고 공병 대위인 "클로드 조제프 루제 드 릴"이 작사합니다 라 마르세예즈가 마르세유의 노래라는 뜻이고 작곡한 년도가 1792년이에요 당시 프랑스 혁명 분위기가 반영되어 민중이 들고 일어나 왕과 귀족들을 처형시키고 우리의 적을 몰살시키자는 험악한 가사입니다 1792년 프랑스 마르세유 출신들의 의용병들이 파리에 입성하면서 불렀기 때문에 제1공화국의 국가로 인정되었다가 나폴레옹 등장 이후 너무 혁명적 분위기가 강하다면서 다른 노래로 변경이 되고 부르봉 왕조 복고 이후에 완전 금지됩니다 그러다가 100년간 라 마르세예즈를 불러야된다 or 부르지 말아야된다 논란이 있다가 1879년에 드디어 국가(國歌)로..
술자리에 꼭 필요한 노래 소개합니다 박군의 한잔해 라는 노래입니다 강철부대 예능에 나오고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된 박군 다들 아시죠? 예전에 미스터 트롯에서 영기씨가 부른 노래로 한잔해가 알려졌는데 2019년 7월달에 한잔해를 작사, 작곡한 바비문씨가 음원 사용금지 가처분 소송을 제기합니다 2019. 7. 31일에 오디션을 열고 그 결과 "박군" 이라는 가수가 새로 선발됩니다 한국 음악 저작권 협회에 한잔해 가수는 박군으로 변경이 되어서 영기의 한잔해는 음악으로 쓸 수 없어요 요즘 코로나도 그렇고 나라 전체가 좋은 일이 없어서 우울한데 노래가 중독성 있고 신나고 기분 전환하기에 딱인 노래라 추천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5g9BgM1To 박군 얼굴 보시면 귀여운 ..
오늘은 미국 군가 메들리입니다 비록 남의 나라 군대이지만 군가가 듣기도 좋고 기운도 나는 음악이라 개인적으로 힘들때마다 가끔씩 듣고 있습니다 메모리얼 데이 미국의 현충일에는 무조건 나오고 미국의 5개 군대 병과 군가가 모두 나옵니다 메모리얼 데이에서는 순서가 있는데 해안경비대 - 공군 - 해군 - 해병대 - 육군 우주군은 원래 미 공군 소속 부대로 되었지만 2019. 12. 20. 새롭게 창설되어 노래 나올겁니다 미국 해안경비대 = US Coast Guard = USCG 미국 공군 = US Air Force = USAF 미국 해군 = US Navy = USN 미국 해병대 = US Marine Corp = USMC 미국 육군 = US Army 미국 해안경비대 군가 We're always ready for..
오늘은 미 해병대가 구보할때 부르는 군가 포스팅입니다 군가야 전역하면 들을 일이 없지만 가끔 이거 달리기 할때 들으면 덜 지치고 확실히 도움되는것 같고 그래서 저는 듣습니다 교관이 먼저 선창을 하면 병사들이 후렴만 따라 부르는데 미 해병대 교관이 정말 극한 직업이에요 목이 다 쉬어버립니다 대신 미 해병대 교관은 사병한테 귀가 떨어져 나갈만큼 대놓고 소리 지르고 욕은 기본입니다 병사한테 개인적으로 악감정이 있는게 아니라 애초부터 혹독하게 훈련시킵니다 미 해병대는 전쟁 나가면 사망할 확률도 가장 높은데다가 총알이 빗발치는 곳에 나가야되기 때문에 정신없고 일부러 굴리는 훈련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가사 뒷부분에 Marine Corps 미해병대 단어는 무조건 부르게 되어 있습니다 Double Time, hut..
유튜브 가나 장례식 영상에 첨부된 노래입니다 제목이 Astronomia 2k19이구요 제작자는 Stephan F 라고 되어 있네요 EDM이 영상하고 아주 잘 맞는데 노래가 중독성이 있고 신나다보니 관짝밈, 관짝 댄스, 가나 장례식 치면 나오고 관짝소년단이라는 별명도 생길 정도입니다 저도 자주 듣는데 2분짜리는 너무 짧아서 1시간짜리 영상을 올렸습니다 여러분들도 같이 즐기시죠 보통 장례식이라고 하면 사람이 죽어서 치르는 행사이기 때문에 안타깝고 슬픔을 표하는데 호상을 맞이한 가나의 장례식은 오히려 죽고 난 다음에 천국에 가는것을 축하한다고 합니다 한국에서도 노인이 잠자다가 고통없이 조용히 사망하는 경우라던지 질병이 아니라 노환으로 자연스럽게 죽음을 맞이한걸 호상이라고 표현하는데 장례식장 가서 그런 이야기를..
오늘은 문명6 OST 노래입니다 Sogno Di Volare 이탈이아어구요 한국어 독음으로는 "소뇨 디 볼라레" 한국어 뜻으로는 "하늘을 나는 꿈" 영어로는 "The Dream of Flight" 인간은 새처럼 자유롭게 하늘을 날고 싶었지만 날개가 없어서 하늘로 올라갈 수 없었습니다 인간이 비행을 모방하기 위해서 날아다니는 새의 날개짓을 따라할 수 밖에 없었죠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1496년 이탈리아 피렌체 근처에서 새로 만든 비행 기계 "오니솝터" 라고 짓고 체체리 산에서 실험하지만 결국 실패하게 됩니다 물론 오니솝터로 하늘을 날 수는 없죠 조류는 인간의 가슴 근육 20배 이상 가질 수 있게 진화되었고 몸을 가볍게 유지하기 위해 소화 직후 배설물을 바로 배출하지만 인간의 몸은 그렇게 진화되지 않았잖아요 ..
제가 불교의 반야심경 리믹스 올리니까 기독교 구독자분이 왜 기독교는 그런 신나는 노래가 없을까 한탄하시더라구요 기독교도 반야심경 못지않는 신성한 기운이 감도는 노래가 있어 소개합니다 오늘의 노래는 바바예투 Baba Yetu 기독교의 주기도문을 스와힐리어로 불렀어요 유명한 PC게임 문명4의 OST이기도 합니다 노래 자체가 너무 좋아서 미국에서 2011년 그래미상을 수상했고 게임 음악 관련으로는 세계 최초 수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JiHDmyhE1A 스와힐리어는 아프리카 동부지방의 언어인데 케냐, 탄자니아, 우간다에서 사용합니다 라이온킹에서 등장하는 언어 대부분이 스와힐리어인데요 하쿠나 마타타 (Hakuna Matata) = 다 잘 될거야 다들 한번씩 들어보셨을겁..
오늘은 소련국가 포스팅입니다 개인적으로 공산주의를 싫어하지만 소련 연방국가 만큼은 세계에서 가장 웅장하고 노래 듣다보면 애국심을 극한까지 끌어올리는 강렬한 노래 아닌가 싶습니다 유튜브에서도 오히려 미국국가를 제치고 소련 연방찬가 조회수가 더 많은것도 이유가 있는것 같은데 공산권 국가들이 노래를 아주 잘 만드는것 같습니다 만약, 제가 1940년대 초반에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소련군이라면 소련 연방 국가 들으면서 머리에는 우샨카를 쓰고 소총은 파파샤 PPSH-41 들고 Ypa! 우라 외치면서 돌격했을겁니다 소련국가는 원래 볼셰비키당 찬가의 노래를 일부 수정하였는데 작곡가는 알렉산드르 바실리예비치 알렉산드로프 작사가는 세르게이 미할코프 입니다 참고로 세르게이 미할코프는 1944년 소련국가 가사 만들고 197..
미국의 국가(國歌)입니다 한국어로는 성조기여 영원하라 영어로는 스타 스팽글 배너 교회 찬송가 느낌에 경건해집니다 한국 가수 소향, 박정현씨가 미국에서 미국 국가를 직접 가서 부른적도 있어요 미국은 자유 민주주의를 선도하며 세계 1위의 군사력과 경제력을 더한 하드파워가 있고 문화, 교육, 연구를 바탕으로 소프트 파워가 더해진 인류 역사상 최강의 힘을 자랑하는 국가입니다 명실상부 전 세계 유일 초강대국이죠 이 노래는 국가(國歌) 치고는 어렵구요 미국 인구 중에서 이 노래를 완벽히 하는 사람은 20%가 안된다고 할 정도니까 높은 비율이죠 국가(國歌) 자체 음역대가 높아서 다 같이 떼창으로 부르기가 쉬운편이 아닙니다 그래서 유명한 가수들을 초청해서 부르는겁니다 추가로, 미국국가를 부른 가수 중에서 역대 최고라고..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